추천 큐레이션
스포플이 스포플로 새롭게 태어납니다!
[네이밍 변경공지 보러가기]
고관절 굴곡근 패시브 스트레칭(영상 포함)
안녕하세요!
패밀리 피트니스 교감으로 활동하는 큐레이터 관절도우미 입니다
오늘은 서정식 마스터님의 스킬 중 고관절(엉덩관절) 굴곡근 패시브 스트레칭 영상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소개전에 간략하게 고관절 굴곡근들에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고관절 굴곡근(hip flexors)은 고관절을 굴곡시키는 근육 그룹을 말합니다 . 이 근육들은 고관절의 앞쪽에 위치하며, 다리를 들어 올리거나 몸통을 앞으로 굽히는 동작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고관절 굴곡근은 여러 개의 근육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요 근육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장요근(Iliopsoas)
-장요근은 크게 장골근(iliacus)과 대요근(psoas major)으로 구성됩니다 . 이 두 근육은 서로 다른 기원에서 시작되지만, 고관절 아래에서 하나로 합쳐져 기능합니다.
-대요근(Psoas Major)
요추(lumbar spine)에서 시작되어 골반을 통과하여 대퇴골(femur)의 소전자(lesser trochanter)에 부착됩니다.
-장골근(Iliacus)
장골(ilium)의 안쪽 면에서 시작되어 대퇴골의 소전자에 부착됩니다.
-이 두 근육은 다리를 들어 올리거나 몸통을 앞으로 굽힐 때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특히 대요근은 척추의 안정성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2. 대퇴직근(Rectus Femoris)
-대퇴직근은 넙다리네갈래근(quadriceps)의 일부로, 대퇴골의 앞쪽을 따라 내려갑니다. 이는 골반의 전방 하단 장골극(anterior inferior iliac spine)에서 시작하여 무릎 아래 경골(tibia)에 부착됩니다.
-이 근육은 무릎을 펴는 역할뿐만 아니라 고관절을 굴곡시키는 역할도 합니다.
3. 봉공근(Sartorious)
봉공근(Sartorius muscle)은 인체에서 가장 긴 근육으로, 고관절과 무릎 관절 모두에 작용하는 중요한 근육입니다 . 봉공근은 고관절과 관련된 굴곡, 외전, 외회전, 그리고 무릎 관절에서의 굴곡 및 내회전에 관여합니다 . 이를 통해 여러 복합적인 움직임을 가능하게 하며, 일상적인 동작뿐 아니라 운동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봉공근의 해부학적 구조
-기원
봉공근은 골반의 전상장골극(Anterior Superior Iliac Spine, ASIS)에서 시작됩니다. ASIS는 골반 앞쪽의 뼈돌기이며, 이곳에서 봉공근이 시작되어 길게 내려옵니다.
-경로
봉공근은 대퇴부의 앞쪽과 안쪽을 비스듬히 지나가며, 넓적다리의 가장 표층에 위치합니다. 이 근육은 길고 얇은 띠 모양으로 다리의 안쪽으로 나선형 경로를 그립니다.
-부착
봉공근은 경골(Tibia, 정강이뼈)의 안쪽, 즉 거위발(Pes Anserinus)이라는 부위에 부착됩니다. 거위발 부위에는 봉공근 외에도 반건상근(Semitendinosus)과 박근(Gracilis)이 함께 부착됩니다.
봉공근의 기능
봉공근은 고관절과 무릎 관절의 복합적인 움직임을 조절하는 다기능 근육입니다.
1. 고관절에서의 기능
-굴곡(Flexion) 봉공근은 고관절을 굴곡시켜 다리를 들어 올리는 역할을 합니다. 다리를 앞으로 드는 동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외전(Abduction) 봉공근은 고관절을 외전시켜 다리를 바깥쪽으로 벌리는 역할을 합니다.
-외회전(External Rotation) 봉공근은 고관절을 외회전시켜 다리의 바깥쪽으로 돌리는 동작을 수행합니다.
2. 무릎 관절에서의 기능
-굴곡(Flexion) 봉공근은 무릎 관절을 굴곡시켜 다리를 구부리는 역할을 합니다 . 무릎을 굽히고 발을 엉덩이 쪽으로 끌어올리는 동작에 관여합니다.
-내회전(Internal Rotation) 봉공근은 무릎이 굽혀졌을 때 정강이를 내회전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봉공근의 특징적인 동작
봉공근의 독특한 기능 조합은 다리 교차, 앉는 자세 (예: 재봉사가 다리를 교차시키는 자세), 또는 축구에서 발의 옆면으로 공을 차는 동작과 같은 복합적인 움직임을 가능하게 합니다. 이러한 동작은 고관절의 굴곡, 외전, 외회전과 무릎의 굴곡 및 내회전이 동시에 일어나는 경우입니다.
봉공근 관련 부상 및 문제
봉공근은 다리의 앞쪽과 안쪽을 따라 길게 위치하기 때문에, 과도한 사용이나 외상으로 인해 부상될 수 있습니다
-과사용(Overuse) 장시간의 달리기, 자전거 타기, 축구와 같은 운동에서 봉공근이 과도하게 사용될 경우 염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근육 긴장 및 염좌(Strain and Sprain) 봉공근에 급작스러운 부하가 걸릴 때, 근육 긴장이나 염좌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이는 특히 빠른 방향 전환이나 과도한 외회전 및 외전 동작에서 자주 일어납니다.
-통증 증후군
봉공근이 짧아지거나 긴장 상태에 있을 경우, 고관절이나 무릎 주위에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보행 불균형을 유발할 수 있으며, 골반과 척추의 정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결 론
봉공근은 고관절과 무릎 관절에 걸쳐 있는 긴 근육으로, 고관절의 굴곡, 외전, 외회전과 무릎의 굴곡 및 내회전에 관여합니다 이 근육은 다리의 복합적인 동작을 가능하게 하며, 일상생활과 운동 모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를 유지하기 위해 스트레칭과 강화 운동이 필수적이며, 부상 예방에도 큰 도움이 됩니다
4. 치골근(Pectineus)
치골근(pectineus muscle)은 허벅지 안쪽에 위치한 근육으로, 고관절의 굴곡(flexion)과 내전(adduction)을 담당합니다. 고관절에 작용하는 근육들 중 하나로서, 고관절을 움직이거나 안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치골근의 해부학적 구조
-기원(Origin)
치골근은 골반의 치골(pectineal line of pubis), 즉 치골의 윗부분에서 시작됩니다
-부착(Insertion)
치골근은 대퇴골의 치골선(pectineal line of femur) 또는 상방 대퇴골 안쪽 부위에 부착됩니다 이는 대퇴골의 뒤쪽 표면에서 소전자 아래로 이어지며, 넓적다리의 내측 부위에 위치합니다. 이 근육은 짧고 두껍지만 비교적 평평하며, 넓적다리의 안쪽 근육 그룹에 속해 있습니다 . 이 그룹은 흔히 내전근(adductor muscles)이라고 불리며, 치골근도 이 그룹에 포함됩니다.
치골근의 기능
1. 고관절 굴곡(Flexion of the hip joint)
치골근은 고관절을 굴곡시켜 다리를 들어 올리는 데 도움을 줍니다. 특히 일상적인 동작에서 다리를 앞으로 들어 올리는 동작을 보조합니다.
2. 고관절 내전(Adduction of the hip joint)
치골근은 다리를 몸의 중간선 쪽으로 모으는 내전 동작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다리를 교차시키거나 다리를 붙이는 동작을 할 때 치골근이 활성화됩니다.
3. 고관절의 약간의 내회전(Medial Rotation of the hip joint)
치골근은 또한 고관절을 약간 내회전시키는 데 기여합니다. 이는 다리를 안쪽으로 돌리는 움직임을 뜻합니다.
치골근의 중요성
-움직임과 안정성
치골근은 고관절의 움직임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히 다리를 들어 올리거나 안쪽으로 모으는 동작에서 작용합니다. 운동 중에는 다리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도 합니다
-내전근의 일부
치골근은 내전근 그룹의 가장 앞쪽에 위치하여, 다리의 내전근으로서 다리를 중간선 쪽으로 모으는 동작에 기여합니다 다른 내전근들과 협력하여 고관절을 안정화하고 움직임을 보조합니다
치골근과 관련된 문제
치골근은 고관절과 대퇴골의 움직임에 깊이 관여하는 근육이기 때문에, 과도한 사용이나 외상으로 인해 문제를 겪을 수 있습니다
1. 과사용 손상 치골근이 반복적으로 사용되거나 무리하게 사용되면, 근육 염증이나 긴장으로 인해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특히 축구, 육상, 자전거 타기 등에서 과도하게 사용될 경우 치골근에 염좌나 긴장이 올 수 있습니다.
2. 치골 통증 증후군(Pubic pain syndrome) 치골근의 부상은 치골통증증후군(치골결합 부위의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이 통증은 스포츠 활동에서 자주 나타나며, 고관절의 움직임이나 내전 시에 불편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3. 고관절 기능 장애 치골근이 약화되거나 부상을 입으면 고관절의 굴곡과 내전에 제한이 생길 수 있으며, 이는 걷기, 달리기, 운동 등에서 기능 장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치골근의 문제가 발생하면 다른 내전근과 고관절 근육에도 부하가 걸리게 되어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결론
치골근은 고관절의 굴곡과 내전을 담당하는 중요한 근육으로, 일상적인 움직임뿐만 아니라 스포츠 활동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고관절의 안정성과 기능에 밀접하게 관여하며, 이 근육이 건강하고 강하게 유지되는 것이
고관절의 전반적인 기능과 운동 능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스트레칭과 강화 운동을 통해 치골근을 잘 관리하는 것이 부상 예방과 운동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됩니다.
여기까지 고관절 굴곡근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았습니다
(봉공근&치골근에 대해 조금 더 알아보았습니다^^)
✅️ 고관절 전면부 골고루 늘리기
앉아서 오래 있거나 오래 걸으면 고관절이 뻐근할 때가 많다
이 영상의 장점은 고관절 전면부의 고른 스트레치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어렵지 않으니 운동 시작 전에도 해보자🤓
👿 허리가 보호될 수 있도록 과신전은 최대한 하지 않는다💀
서정식 마스터님 말씀대로 위 고관절 굴곡근 패시브 스트레칭 시 요추 부분이 과신전되어 불편하거나 통증이
발생되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실시해 주시면 좀 더 효과적인 고관절 굴곡근 패시브 스트레칭이 될 것입니다^^
연관 상품
추천 상품
추천 큐레이션
추천 클래스
추천 패밀리
헬스케어 플랫폼, 스포플
Loading...
ⓒ 2024 SPOFL
복사 되었습니다.
친구 추천하고 3,000P 혜택받자!
내 초대코드 확인 후 친구한테 초대 코드 보내고 친구가 회원가입 및 구매완료시
각각
3,000P 적립해드립니다!